‘해외 인재 유치’ 어떻게…“유학생 정착 위해 서울시 역할 강화” [박진영의 뉴스 속 뉴스]

정부가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고자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기존 유학생들의 취업 연계를 통한 정착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전체 유학생의 절반

www.segye.com

 

 

유학생 유치에서 정착으로: 해외 인재 정책의 새로운 과제

우리 사회가 해외 인재 유치 경쟁 속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가운데, 이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한 후 어떻게 정착시키고 지역 인재로 함께 성장하게 만들 것인가”가 중요한 정책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유학생 현황과 구조적 한계

현재 수도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 취업 및 진로 정보 부족
  • 졸업 이후 체류 불안
  • 언어장벽 및 정서적 고립
  • 현장 인턴십 기회 부족
  • 복잡한 비자 체계

문과, 예체능 계열 유학생들이 특히 취업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 결과도 확인된다. 유학생 상당수는 한국에서의 경력을 희망하지만, 제도적 장벽과 산업계 인식 부족으로 실질적 연결이 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 왜 ‘정착 지원’이 필요한가

해외 주요 도시의 정책 흐름은 “유학생 → 지역 전문인력 → 경제 기여 인재”로 이어지는 Career-Path 모델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우리 역시 단순히 학생을 유치하는 데 머물 것이 아니라, 정착·취업·경력 설계까지 이어지는 종합 지원 구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학생이 많이 모여 있는 광역 및 기초 지자체는

  • 지역 기반의 정착 프로그램
  • 체류·생활 밀착 지원
  • 지역 기업과의 네트워크
    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

■ 필요한 정책 방향

유학생 정착을 현실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방향  내용
취업 연계 강화 인턴십·현장실습 확대, 기업 매칭
비자 안정성 확보 취업·창업 연계 체류 제도 개선
산학관 협력 대학–기업–지자체 협력 플랫폼
지역 정착 지원 커뮤니티·생활·주거 지원 확대

■ 결론

외국인 유학생은 떠나는 손님이 아니라, 함께 살아갈 미래 인재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유치 중심 정책에서 정착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