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이 떠나지 않는 전북을 위해" 전북형 유학생 정착 지원 본격화 - 전북투데이
 

 

"외국인 유학생이 떠나지 않는 전북을 위해" 전북형 유학생 정착 지원 본격화 - 전북투데이

전북지역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을 \'정착 중심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됐다.외국인 유학생 정착지원을 현장에서 직접 수행해 온 (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가 6일 전북

www.jtnews.kr

전북투데이 한종수 기자 승인 2025.11.06 14:46

- 6일 전북도의회·(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의 지속가능한 방향 모색 세미나“ 개최
- 전문가 발제와 토론 통해 외국인 유학생 학업ㆍ생활ㆍ취업 전반 진단 및 지원 정책 논의

 


(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가 6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의 지속가능한 방향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북지역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을 '정착 중심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외국인 유학생 정착지원을 현장에서 직접 수행해 온 (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가 6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서 한정수 의원과 함께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의 지속가능한 방향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2차 세미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과 생활, 취업 등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향후 지원체계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핵심 안건으로는 ‘외국인 유학생 실태 및 지원체계 강화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그동안 유학생 지원이 개별 대학의 행정 역량에 과도하게 집중돼 법률·정서·생활·진로 등 다층적 어려움 해결에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본부는 유학생 지원 현장에서 확인된 문제를 ▲법률 분쟁 초기 대응 부재 ▲정서적 고립 심화 ▲생활·행정 정보 접근 제한 ▲졸업 이후 경력 경로(Career-Path) 단절 등 4대 구조 문제로 제시하며, 사고 예방 중심의 정착형 지원정책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좌장을 맡은 한정수 도의원은 “현장의 경험이 정책으로 이어질 때 실효성이 생긴다”며 “도의회는 본부와 함께 조례·예산·행정 기반을 마련해 유학생 정착 지원 모델을 제도화하겠다”고 말했다.

고선영 법률지원본부장은 “유학생들이 지역에 남아 일하고 삶을 이어간다면, 이는 단순한 교육 문제가 아니라 전북자치도의 인구, 산업, 문화에 모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유학생은 보호 대상이 아니라 지역의 성장 자산이다. 대학은 교육을, 지자체는 제도를, 지역사회는 환경을, 그리고 본부는 현장을 책임지는 실행 축을 담당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주시는 전국 최초로 민·관·학·연이 참여하는 외국인 유학생 정주지원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유학생을 지역 인재로 전환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지원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 협의체는 우범기 전주시장의 정책 기조 아래 유학생 정착지원 모델을 도시 차원의 실행과제로 이끌고 있는 사례로 소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외국인 유학생이 떠나지 않는 전북을 위해" 전북형 유학생 정착 지원 본격화 - 전북투데이

전북지역 외국인 유학생 지원정책을 \'정착 중심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됐다.외국인 유학생 정착지원을 현장에서 직접 수행해 온 (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가 6일 전북

www.jtnews.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