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인재 유치’ 어떻게…“유학생 정착 위해 서울시 역할 강화” [박진영의 뉴스 속 뉴스]
정부가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고자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기존 유학생들의 취업 연계를 통한 정착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전체 유학생의 절반
www.segye.com
유학생 유치에서 정착으로: 해외 인재 정책의 새로운 과제
우리 사회가 해외 인재 유치 경쟁 속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가운데, 이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한 후 어떻게 정착시키고 지역 인재로 함께 성장하게 만들 것인가”가 중요한 정책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유학생 현황과 구조적 한계
현재 수도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 취업 및 진로 정보 부족
- 졸업 이후 체류 불안
- 언어장벽 및 정서적 고립
- 현장 인턴십 기회 부족
- 복잡한 비자 체계
문과, 예체능 계열 유학생들이 특히 취업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 결과도 확인된다. 유학생 상당수는 한국에서의 경력을 희망하지만, 제도적 장벽과 산업계 인식 부족으로 실질적 연결이 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 왜 ‘정착 지원’이 필요한가
해외 주요 도시의 정책 흐름은 “유학생 → 지역 전문인력 → 경제 기여 인재”로 이어지는 Career-Path 모델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우리 역시 단순히 학생을 유치하는 데 머물 것이 아니라, 정착·취업·경력 설계까지 이어지는 종합 지원 구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유학생이 많이 모여 있는 광역 및 기초 지자체는
- 지역 기반의 정착 프로그램
- 체류·생활 밀착 지원
- 지역 기업과의 네트워크
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
■ 필요한 정책 방향
유학생 정착을 현실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 방향 | 내용 |
| 취업 연계 강화 | 인턴십·현장실습 확대, 기업 매칭 |
| 비자 안정성 확보 | 취업·창업 연계 체류 제도 개선 |
| 산학관 협력 | 대학–기업–지자체 협력 플랫폼 |
| 지역 정착 지원 | 커뮤니티·생활·주거 지원 확대 |
■ 결론
외국인 유학생은 떠나는 손님이 아니라, 함께 살아갈 미래 인재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유치 중심 정책에서 정착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다.
'○ 기본 정보 및 법률지원본부 소개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도] 전주대, 도내 중국 유학생 대상 '문화예술축제' 개최 (0) | 2025.11.12 |
|---|---|
| [보도] "외국인 유학생이 떠나지 않는 전북을 위해" 전북형 유학생 정착 지원 본격화 (0) | 2025.11.06 |
| [보도] 전국 첫 외국인유학생 정주지원 협의회 출범…전주시가 주도 (0) | 2025.10.10 |
| [보도] 한국에 있는 유학생의 절반 이상이 취약한 정책 감독으로 인해 학업 수준의 언어 능력이 부족하다 (1) | 2025.10.09 |
| [보도] 서울시, 유학생과 외국인에 대한 취업 및 사업 제한 완화 (0) | 2025.1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