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근로 관련 법률 용어 사전: 임금, 수당, 해고 등 📚💼🐰
“근로계약서에 ‘통상임금’이란 말이 있는데 무슨 뜻인가요?”
“퇴직금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임금이 뭐죠?”
근로 관련 법률 용어를 알면 내 권리를 지킬 수 있어요 🦊✨
✅ 주요 근로 법률 용어 정리
📌 임금 (Wages)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모든 금품을 말합니다.
월급, 주급, 일급, 상여금, 수당 등이 포함되며, 통상 근로계약서에 기재됩니다.
👉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5호 근거
📌 통상임금 (Ordinary Wages)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으로,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예: 기본급, 매월 지급되는 고정수당
📌 최저임금 (Minimum Wage)
국가가 정한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임금입니다.
매년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하며,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 최저임금 안내
📌 수당 (Allowance)
기본급 외에 근로 형태, 조건, 실적 등에 따라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종류: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직책수당, 위험수당 등
📌 해고 (Dismissal)
사용자가 근로자를 일방적으로 근로관계에서 제외하는 행위입니다.
정당한 이유와 절차(사전 통지, 해고 사유 명시)가 필요하며, 부당 해고 시 구제 신청 가능
👉 근로기준법 제23조 근거
📌 부당해고 구제신청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단되면 고용노동부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 기한: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
👉 부당해고 구제 안내
📌 퇴직금 (Severance Pay)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할 때 지급받는 금액입니다.
계산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근속연수 ÷ 12)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근거
📌 근로계약서 (Labor Contract)
근로 조건(임금, 근로시간, 휴일, 휴가 등)을 명시한 문서로, 서면 교부 의무가 있습니다.
작성·보관은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가 해야 합니다.
✅ 예방 팁 🌱
- 근로계약서에 모든 조건이 명확히 기재됐는지 확인
- 임금 명세서를 매월 받아서 확인
- 최저임금 미달·수당 미지급 시 즉시 상담·신고
- 해고 통보를 받으면 증거자료(통지서, 문자, 이메일) 확보
📎 출처
- 근로기준법
https://www.law.go.kr -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는 외국인 유학생 여러분의 비자 및 체류 문제, 근로 관련 분쟁 해결을 도와드립니다 🐣💌
☎ 063-251-3454 / 📱 010-8398-1224
💬 카카오톡 채널: @한국외국인유학생법률지원본부
📧 passcafe@daum.net
'○ 주요 법률 정보 데이터베이스 > 근로 및 고용 관련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20] 근무 중 개인정보 유출 시 법적 대응 🔐📄🐰 (1) | 2025.08.13 |
---|---|
[근로19] 유학생 근로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 (5) | 2025.08.13 |
[근로17] 외국인 근로자 전용 지원센터 활용 방법 🐻❄️📞💼 (0) | 2025.08.13 |
[근로16] 고용 보험, 산재 보험 가입과 혜택 🐰📑💼 (3) | 2025.08.13 |
[근로15] 아르바이트를 여러 곳에서 할 때의 법적 문제 🐰💼🔍 (4) | 2025.08.13 |